<책>모성, 그 생명과 평화 - 박완서 초기소설론

2008. 11. 27. 17:02Book Reviews

모성, 그 생명과 평화

하응백(문학평론가)

 
 한국소설사에서부계문학의 전통은 완고하고도 집요하다. 근대소설의 초입에 있는 이광수의 『무정』이 가짜 아버지를 찾아 나선 것이었다면, 염상섭의 『삼대』는 부계의 계통 세우기 소설이었다. 이런 전통은 6·25와 분단의 비극적 현대사가 점철되면서 7,80년대는 김원일·이문열·임철우의 소설로, 90년대는 김소진의 소설로까지 연결된다. 이들의 소설에서 아버지는 부재하거나 있다 하더라도 제 구실을 하지 못함으로 인해, 아들은 아버지를 찾아 나서거나 스스로 아버지가 되어야 했고, 그것이 여의치 못할 때는 어떻게든 아버지를 복권시켜야 했다. 그것은 자신의 아들을 위한 일이기도 했다.

아버지가 부재하거나 제 구실을 못할 때 자신의 교육과 성장은 어머니가 전적으로 맡게 된다. 이때의 어머니는 모성과 부성을 동시에 가질 수밖에 없다. 이 어머니는 대개 불완전하게 마련이어서 아들은 어머니에게서 모성과 부성의 결핍을 동시에 발견한다. 때문에 아들은 어머니에게 반발하거나 연민을 느낀다. 그러한 결손의식 속에서 한구그이남성작가들은 스스로 아버지를 찾고 스스로 아버지가 되어야만 했다.

  한편 딸은 어떠할까. 공적인 부성회복의 최고의 명제였던 한국의 상황과 가부장적 사회구조 속에서 딸의 성장과 어머니 됨은 아들의 아버지 찾기나 아버지 됨에 비해 부차적인 문제로 인식 될 수밖에 없었다. 한국근대사에서 남편의 부재는 아내에게 집지킴과 자식의 양육이라는 이중의 과제를 부과했고, 딸은 아들의 후원자 혹은 보조자로 기능할 수밖에 없었다. 예컨대 『토지』의 주인공 서희는 할머니의 고토를 되찾고 지키는 것과 함께 자식의 생산과 교육을 절대적인 사명으로 받아들였던 것이다. 『토지』의 서희를 어머니 세대로 본다면, 그녀의 딸 세대인 김원일이나 이문열 소설들의 누이는 역할이 미미하거나 거의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딸의 성장이나 어머니 됨의 문제는 남성문학의 주류에서는 괄호 속에 넣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바로 이 소외된 지점에서 박완서 문학은 출발한다. 박완서의 『나목』은 박경리의 소설과 더불어 한국 모계문학의 발원지 역할을 한다. 박완서는 유년기에 아버지를 잃었다. 게다가 6·25로 가족의 아버지 역할을 담당할 오빠마저 잃었다. 전쟁으로 인해 겪은 고향 상실과 남성 상실의 고통은 박완서로 하여금 “벌레의 시간”(『그 많던 싱아는 누가다 먹었을까』)을 증언할 결기를 품게 만든다. 애당초남성 부재의식에부터 출발하기에 박완서 소설의 상당수는 남성이 부정적으로 그려지거나 부재한다. 그것은 박완서의 배타적인 남성과 혹은 여성 편향적인 속성 때문이 아니라, 여인 가족에서 성장한 달이 어떻게 정상적인 가족 속에서의 어머니가 되느냐 하는 문제에 그녀의 문학적 촉수가 더 닿았기 때문이다.

박완서 문학에서는 아들보다는 딸이, 아버지보다는어머니가,남편보다는 아내의 이야기가 주류를 이룬다. 그것은 가부장적 사회구조에서 소외될 수밖에 없었던 여성의 목소리를 문학적으로 형상화하는 것이기도 하다. 때문에 박완서의 문학은 남성적 사고에서 본다면 중심이 아닌 주변부의 이야기다. 그러나 주변부의 목소리를 사랑하고 변호하고 위무하는 것은 문학의 본질적 사명 중의 하나이다. 박완서의 문학은 작고 소박하고 권력욕이 배제된 목소리를 내지만, 그것은 여성성의 본질을 포함하고 있기에 끈질긴 생명력을 갖고 있다.

  박완서의 문학은 수다스럽다. 남성적 사고에서 본다면 부정적이기도 한 이 수다는 여성적 동지애와 정서적 친밀감을 강화시킨다. 또한 박완서의 수다에는 옳지 못한 것에 대한 비판과 모성적 사랑이 담겨 있다. 바로 이 비판정신과 모성적 사랑이 박완서 문학의 두 기둥이다.

 
나의 생각

 내가 박완서 소설을 좋아하는 이유가, 그런 여성적인 섬세한 시선이 살아 있음이다. 글쓴이가 밟아왔던 세월의 흔적에 따라 글에서 묻어나는 향기가 각기 다르듯이, 여타 한국의 주류 소설가들과 다르게 박완서씨의 소설에는 여성의 풍부한 감성이 묻어난다.

 보통의 한국의 남성에게 있어서 내면의 자기 감정을 드러낸다는 것은 자못 감정적이거나 나약함으로 비춰질 수 있기 때문에 그 표현이 억업되어왔던 것이 사실이다. 박완서씨의 글을 읽고 있노라면 단순히 우리 주변을 그리는 것 이상으로 내면의 자기 감정 표현에 있어서도 솔직하다. 현실세계에서 억압 될 수 밖에 없는 자기 감정의 표현 욕구를 박완서씨의 글을 읽음으로서 대리충족 한다고 해야할까?